과월호 보기

2025년

      2025년 01월호
      2025년 02월호
      2025년 03월호
      2025년 04월호
      2025년 05월호
      2025년 06월호

2024년

      2024년 01월호
      2024년 02월호
      2024년 03월호
      2024년 04월호
      2024년 05월호
      2024년 06월호
      2024년 07월호
      2024년 08월호
      2024년 09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2월호

2023년

      2023년 01월호
      2023년 02월호
      2023년 03월호
      2023년 04월호
      2023년 05월호
      2023년 06월호
      2023년 07월호
      2023년 08월호
      2023년 09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2월호

2022년

      2022년 01월호
      2022년 02월호
      2022년 03월호
      2022년 04월호
      2022년 05월호
      2022년 06월호
      2022년 07월호
      2022년 08월호
      2022년 09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2월호

2021년

      2021년 01월호
      2021년 02월호
      2021년 03월호
      2021년 04월호
      2021년 05월호
      2021년 06월호
      2021년 07월호
      2021년 08월호
      2021년 09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2월호

2020년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19년

      2019년 01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18년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7년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6년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5년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4년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3년

      2013년 01월호
      2013년 02월호
      2013년 03월호
      2013년 04월호
      2013년 05월호
      2013년 06월호
      2013년 07월호
      2013년 08월호
      2013년 0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2년

      2012년 01월호
      2012년 02월호
      2012년 03월호
      2012년 04월호
      2012년 05월호
      2012년 06월호
      2012년 07월호
      2012년 08월호
      2012년 0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1년

      2011년 01월호
      2011년 02월호
      2011년 03월호
      2011년 04월호
      2011년 05월호
      2011년 06월호
      2011년 07월호
      2011년 08월호
      2011년 0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0년

      2010년 01월호
      2010년 02월호
      2010년 03월호
      2010년 04월호
      2010년 05월호
      2010년 06월호
      2010년 07월호
      2010년 08월호
      2010년 09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2월호

2009년

      2009년 01월호
      2009년 02월호
      2009년 03월호
      2009년 04월호
      2009년 05월호
      2009년 06월호
      2009년 07월호
      2009년 08월호
      2009년 09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2월호

2008년

      2008년 01월호
      2008년 02월호
      2008년 03월호
      2008년 04월호
      2008년 05월호
      2008년 06월호
      2008년 07월호
      2008년 08월호

2007년

      2007년 09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2월호
감기, 효과 좋고 저렴한 보험한약 드세요

 



문상돈
한의학 박사 | 전 원광대학교 한의대 외래교수 | 햇살고운 한의원 대표원장

허리가 아파서 오시는 중년 여성분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진찰하던 중 연신 기침을 하면서 숨을 몰아쉰다. 기침 때문에 허리가 더 아프다면서 몹시 괴로워한다. 감기약을 먹은 지 2주가 넘었는데, 감기는 나을 기미가 보이지 않고 기침하다가 허리까지 삐끗했다는 것이다. 허리에 침 치료를 한 후, 감기에 잘 듣는 보험 한약을 3일분 처방해드렸더니 며칠 지나 감기약 효과가 좋다며 얼굴이 밝아졌다.


올 겨울에는 독감과 감기환자가 유난히 많다.
다른 해에 비해 몇 배가 늘어났고 갈수록 바이러스가 강해져 감기 환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한약이 감기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고 더욱이 보험까지 된다는 것을 아는 이들은 별로 없다. 대부분 한의원에는 감기에 잘 듣는 보험 한약을 구비하고 있으며 증상에 따라 처방할 수 있도록 10가지 이상 감기 보험한약이 준비되어 있다.
감기 보험한약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복용하기 쉽다


어린이들이 한약을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가 복용이 불편하다는 점이다.
탕약은 여러 가지 약재가 섞여서 아이들 입맛에 맞게 달짝지근하지 않아 목 넘김이 어렵고 심지어 성인들도 맛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한약을 멀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보험한약은 쓰거나 역한 맛을 줄여서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도 먹기 편리하다.


2. 부작용에서 자유롭다


타이레놀 같은 해열제를 복용하고 간수치가 급상승하거나 진통제 복용 후 속쓰림 더부룩함 같은 위장장애 등 약물 부작용 사례가 많은데, 보험한약은 그런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양약과 달리 생약재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화학성분에 대한 부담이 적고 부작용으로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오히려 속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위장기능이 개선되기도 하며 장기간 복용해도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기관지가 약하거나 면역력이 약한 분들도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3. 비용 부담이 적다


보험한약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처방받을 수 있어 약값에 대한 부담 없이 한약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진료하면서 탕약과 같이 고가의 치료비용 때문에 치료를 시작할 수 없거나 중간에 치료를 그만두는 문제에 봉착했을 때, 안타까운 경우를 무수히 경험했다. 보험한약이 다양해지고 치료 범위가 넓어져 적어도 감기 치료는 그런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현실이 그나마 다행이고 고맙다.


감기 보험한약의 종류와 효과는 다음과 같으므로
감기에 걸리면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여 처방받으면 된다.


1. 갈근탕 : 오한, 발열, 두통, 목 뻣뻣함, 눈 통증, 코 건조함
2. 갈근해기탕 : 눈과 코의 열감을 동반한 통증, 누렇고 찐덕한 코, 코막힘
3. 구미강활탕 : 오한, 발열, 몸살로 땀을 빼줄 필요가 있을 때
4. 삼소음 : 가래(기침할 때도 가래 소리 동반), 미열
5. 소시호탕 : 가슴과 옆구리가 울릴 정도로 심한 기침, 추웠다 더웠다 할 때
6. 소청룡탕 : 맑은 콧물, 재채기, 가래, 오한
7. 연교패독산 : 일반적인 감기 증상에 겸해 목감기가 심할 때
8. 인삼패독산 : 발열, 오한, 몸살, 기침, 목감기 등 종합감기약 같은 느낌
9. 자음강화탕 : 밤에 심한 기침(입이 마르고 목이 간질거림)
10. 형개연교탕 : 중이염, 귀통증, 누런 코, 코막힘
11. 행소탕 : 오래된 기침(기침 자체가 심하진 않음)
12. 갈근탕 : 오한, 발열, 두통, 목 뻣뻣함 등의 증상과 갈증, 눈 통증, 코 건조함 등의 증상이 같이 있을 때
13. 갈근해기탕 : 눈과 코의 열감을 동반한 통증, 누렇고 찐덕한 코, 코막힘
14. 구미강활탕 : 오한, 발열, 몸살로 땀을 빼줄 필요가 있을 때
15. 삼소음 : 가래(기침할 때도 가래 소리 동반), 미열
16. 소시호탕 : 가슴과 옆구리가 울릴 정도로 심한 기침, 추웠다 더웠다 할 때
17. 소청룡탕 : 맑은 콧물, 재채기
18. 연교패독산 : 일반적인 감기 증상에 겸해 목감기가 심할 때
19. 인삼패독산 : 발열, 오한, 몸살, 기침, 목감기 등 종합감기약 같은 느낌
20. 자음강화탕 : 밤에 심한 기침(입이 마르고 목이 간질거림)
21. 형개연교탕 : 중이염, 귀통증, 누런 코, 코막힘
22. 행소탕 : 오래된 기침(기침 자체가 심하진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