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04월호

    다시듣는 큰스님 법문
    이달의 법문
    화보
    생활불교를 실천합시다 1
    생활불교를 실천합시다 2
    생활불교를 실천합시다 3
    즐거움을 뿌려라
    절문밖 풍경소리
    생활세계와 불교
    붓다 칼럼
    금강계단
    취재현장에서 본 불교
    지상법문
    선지식을 찾아서
    건강한 생활
    입시광장
    치아건강 칼럼

과월호보기

행복하려면 자비심 가져야








   달라이라마
   티베트승왕



자비심이 없으면 우리는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우리 모두가 행복하기를 원하고, 행복한 가족과 친구들을 갖고 싶어 하기 때문에, 우리는 자비심과 애정을 길러야 합니다. 영성(靈性)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습니다. 종교적 믿음이 있는 영성과 믿음이 없는 영성입니다. 따라서 종교적 믿음이 없는 경우라도 따뜻한 마음을 지닌 인간이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분노가 일어나려는 순간마다, 그 분노의 대상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훈련을 하십시오. 내게 분노를 일으키는 사람이나 상황은 기본적으로 상대적입니다. 어떤 관점에서 생각 하면 나를 화나게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그 속에서 좋은 점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티베트인들은 조국을 잃고 망명객이 되었습니다. 만일 티베트인들이 망명객의 관점에서 자신들의 상황을 생각하면 좌절하고 슬퍼하겠지만, 동일한 그 사건이 티베트인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타종교인들과 만날 기회도 주고, 세계 각국의 사람들에게 불교를 알릴 기회도 주었습니다. 사물이나 사건을 더 융통성 있게 바라보는 훈련을 하면, 조화로운 정신적 태도를 기를 수 있습니다. 이것이 한 가지 방법입니다.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병이 들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아마 병에 대해서 생각하면 할수록 좌절감은 더욱 심해질 것입니다. 그런 경우에, 우리의 병이 최대로 악화될 경우의 상태와 현재의 상태를 비교해 본다든지, 더 나쁜 병에 걸렸을 경우와 현재의 병을 비교해 보면 큰 도움이 됩니다. 이것 역시 우리의 상황을 상대적으로 바라보는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현재 상황을 더 나쁜 상황과 비교해 보면, 좌절감이 즉시 감소됩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어려움에 부딪쳤을 때, 가까운 데서 보면 그 어려움이 아주 크게 보이지만, 멀리 떨어져서 보면 작게 보입니다. 앞에 제시한 방법들을 훈련하고, 어려움을 멀리 떨어져서 보는 안목을 기르면, 어려움에 직면할 때마다 좌절감을 점점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걸 아실 겁니다. 하지만, 그런 식으로 계속 노력하면 분노 하는 성향이 사라집니다. 그리고 우리 마음의 자비스런 면과 잠재되어 있던 좋은 성질들이 밖으로 드러납니다. 이상과 같은 방법들을 훈련하면 부정적인 사람도 친절한 사람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 방법으로 인간을 변화시켜 왔습니다. 종교적 믿음을 갖는 것은 인간의 좋은 성질들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성경에서, 누가내한뺨을때리면 다른 뺨도 때리게 내밀라고 말하는 것은 인내하는 수행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제 생각으로는, 성경의 주요 가르침은 동료 인간들을 사랑하라는 것과 그런 사랑을 더욱 많이 베풀어야 하는 까닭은 하나님을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그것을 무한한 사랑의 마음을 가지라는 의미로 해석했습니다. 종교적 가르침들은 인간의 좋은 성질들을 계발하고 키우는데큰힘을 발휘합니다. 특히 불교는 매우 명백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우선, 우리는 모든 생명체들이 동등하다고 생각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 다음에는, 다른 모든 생명체들의 삶이 인간의 삶과 마찬가지로 귀중하다고 생각함으로써 다른 생명체들을 염려하는 마음을 갖는 것입니다.

종교적 믿음이 없는 사람의 경우는 어떨까요? 종교를 선택하는 것은 개인의 권리입니다, 종교 없이도 잘 살 수 있고, 어떤 의미로는 생활이 더 간편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종교에 전혀 관심이 없다 하여도, 인간의 좋은 성질들이 지닌 가치를 무시해선 안 됩니다. 우리가 인간이고 인간 사회의 구성원인 한, 우리는 자비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자비심이 없으면 우리는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우리 모두가 행복하기를 원하고, 행복한 가족과 친구들을 갖고 싶어 하기 때문에, 우리는 자비심과 애정을 길러야 합니다. 영성(靈性)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습니다. 종교적 믿음이 있는 영성과 믿음이 없는 영성입니다. 따라서 종교적 믿음이 없는 경우라도 따뜻한 마음을 지닌 인간이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다음호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