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월호 보기

2025년

      2025년 01월호
      2025년 02월호
      2025년 03월호

2024년

      2024년 01월호
      2024년 02월호
      2024년 03월호
      2024년 04월호
      2024년 05월호
      2024년 06월호
      2024년 07월호
      2024년 08월호
      2024년 09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2월호

2023년

      2023년 01월호
      2023년 02월호
      2023년 03월호
      2023년 04월호
      2023년 05월호
      2023년 06월호
      2023년 07월호
      2023년 08월호
      2023년 09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2월호

2022년

      2022년 01월호
      2022년 02월호
      2022년 03월호
      2022년 04월호
      2022년 05월호
      2022년 06월호
      2022년 07월호
      2022년 08월호
      2022년 09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2월호

2021년

      2021년 01월호
      2021년 02월호
      2021년 03월호
      2021년 04월호
      2021년 05월호
      2021년 06월호
      2021년 07월호
      2021년 08월호
      2021년 09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2월호

2020년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19년

      2019년 01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18년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7년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6년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5년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4년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3년

      2013년 01월호
      2013년 02월호
      2013년 03월호
      2013년 04월호
      2013년 05월호
      2013년 06월호
      2013년 07월호
      2013년 08월호
      2013년 0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2년

      2012년 01월호
      2012년 02월호
      2012년 03월호
      2012년 04월호
      2012년 05월호
      2012년 06월호
      2012년 07월호
      2012년 08월호
      2012년 0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1년

      2011년 01월호
      2011년 02월호
      2011년 03월호
      2011년 04월호
      2011년 05월호
      2011년 06월호
      2011년 07월호
      2011년 08월호
      2011년 0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0년

      2010년 01월호
      2010년 02월호
      2010년 03월호
      2010년 04월호
      2010년 05월호
      2010년 06월호
      2010년 07월호
      2010년 08월호
      2010년 09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2월호

2009년

      2009년 01월호
      2009년 02월호
      2009년 03월호
      2009년 04월호
      2009년 05월호
      2009년 06월호
      2009년 07월호
      2009년 08월호
      2009년 09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2월호

2008년

      2008년 01월호
      2008년 02월호
      2008년 03월호
      2008년 04월호
      2008년 05월호
      2008년 06월호
      2008년 07월호
      2008년 08월호

2007년

      2007년 09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2월호
소아비만-큰 병을 초래한다

문상돈 | 한의학 박사
           원광대학교 한의대 외래교수
           햇살고운한의원 대표 원장


소아비만증이란 대개 같은 신장을 가진 소아의 표준 체중보다 20% 이상 더 나갈 때를 말한다.
그러나 때로는 골격이 크고 근육 조직이 풍부해서 체중이 많이 나갈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비만증으로 오인하면 안 된다.
정상과 비만을 감별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은 대체로 체중보다는 전신의 모양으로 진단하는데, 비록 체중이 표준보다 무겁다고 해도 체중에서 차지하는 지방의 비율을 뜻하는 체지방율이 높지 않으면 비만으로 진단하지 않는다.
어려서 형성된 뚱뚱한 체격이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비만한 소아의 과도한 지방조직은 지방 세포의 크기 뿐만 아니라 수도 증가되기 때문이다. 즉 후에 체중을 줄이더라도 이미 증가된 지방세포의 수는 줄지 않고 크기만 줄기 때문에, 음식을 과잉 섭취할 때 다시 지방으로 채워져서 살이 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만이 어린 시기부터 시작이 되면, 소아 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쉽고 일생동안 건강한 식생활과 활동적인 생활양식을 필요로 하는, 치료하기 어려운 만성 질환이 된다.

최근 경제성장으로 생활환경이 편리해지고 활동량이 부족하여 열량 소비가 감소한 반면에, 식생활의 서구화로 열량 섭취가 증가하여 소아 비만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소아비만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과식에 의하여 2차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며, 부모가 뚱뚱하면 같은 체질인 자식이 닮아서 비만이 오는 유전적인 요인, 정신적 장애, 뇌에 기질적인 병변이 있는 경우, 운동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고도 비만 아이들은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고혈압 및 동맥경화증 같은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과체중으로 인해 주위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자신의 모습에 만족하지 못하여 우울증 등 심인성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성장기에 비만이 지속되면 체내 성장호르몬 분비가 줄고 성호르몬 분비가 촉진되어 2차 성징이 빨라지기 때문에 충분한 성장이 이뤄지기 전에 성장판이 먼저 닫혀 결과적으로 성장 저하가 생기는 경우도 많다.

소아 비만 치료의 최종 목표는 비만도를 줄여서 표준 체중 전후로 유지하는 것으로, 경도 비만아는 체중을 유지만 하여도 신장이 커져 비만도가 정상으로 되므로 너무 엄격한 식사제한을 할 필요가 없다. 비만도가 심할수록 성인 비만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특히 중등도, 고도 비만아는 집중적으로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소아 비만의 치료 프로그램에는 먼저 식이요법이 중요하다. 즉 2차 급성장기에 해당하는 10-15세의 아동에게는 식사를 제한하되, 필요한 양의 단백질은 공급하며 칼로리는 적고 양은 많은 음식으로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 식이요법만을 단독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운동요법과 행동 요법, 교육 등 병행해야 하나, 너무 급격한 체중 감소는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고 비타민 등의 무기질 등은 부족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체중 감량이 컸던 비만아는 체중이 다시 그 전처럼 되거나 또는 더 비만해지는(요요 현상)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체중 감량은 가능한 한 서서히 장기간에 걸쳐 시행해야 한다.
부모의 지대한 협력과 관심이 필요하고 비만아에게만 인내를 강요할 것이 아니라 가족 전원의 이해와 협력이 없으면 실패하기 쉽다. 연령이 적은 소아는 의지가 약하고 인내심이 부족하므로 비만아가 어릴수록 부모와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다.

원인이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채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덮어놓고 음식을 줄이고 갑작스럽게 과도한 운동을 시키는 막무가내식 다이어트 보다 이제는 소아 비만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평가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인 예방과 치료가 이뤄져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