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월호 보기

2025년

      2025년 01월호
      2025년 02월호
      2025년 03월호

2024년

      2024년 01월호
      2024년 02월호
      2024년 03월호
      2024년 04월호
      2024년 05월호
      2024년 06월호
      2024년 07월호
      2024년 08월호
      2024년 09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2월호

2023년

      2023년 01월호
      2023년 02월호
      2023년 03월호
      2023년 04월호
      2023년 05월호
      2023년 06월호
      2023년 07월호
      2023년 08월호
      2023년 09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2월호

2022년

      2022년 01월호
      2022년 02월호
      2022년 03월호
      2022년 04월호
      2022년 05월호
      2022년 06월호
      2022년 07월호
      2022년 08월호
      2022년 09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2월호

2021년

      2021년 01월호
      2021년 02월호
      2021년 03월호
      2021년 04월호
      2021년 05월호
      2021년 06월호
      2021년 07월호
      2021년 08월호
      2021년 09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2월호

2020년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19년

      2019년 01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18년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7년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6년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5년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4년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3년

      2013년 01월호
      2013년 02월호
      2013년 03월호
      2013년 04월호
      2013년 05월호
      2013년 06월호
      2013년 07월호
      2013년 08월호
      2013년 0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2년

      2012년 01월호
      2012년 02월호
      2012년 03월호
      2012년 04월호
      2012년 05월호
      2012년 06월호
      2012년 07월호
      2012년 08월호
      2012년 0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1년

      2011년 01월호
      2011년 02월호
      2011년 03월호
      2011년 04월호
      2011년 05월호
      2011년 06월호
      2011년 07월호
      2011년 08월호
      2011년 0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0년

      2010년 01월호
      2010년 02월호
      2010년 03월호
      2010년 04월호
      2010년 05월호
      2010년 06월호
      2010년 07월호
      2010년 08월호
      2010년 09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2월호

2009년

      2009년 01월호
      2009년 02월호
      2009년 03월호
      2009년 04월호
      2009년 05월호
      2009년 06월호
      2009년 07월호
      2009년 08월호
      2009년 09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2월호

2008년

      2008년 01월호
      2008년 02월호
      2008년 03월호
      2008년 04월호
      2008년 05월호
      2008년 06월호
      2008년 07월호
      2008년 08월호

2007년

      2007년 09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2월호
관심과 배려의 친절함










   정우(頂宇)스님
   본지 발행인
   통도사 주지
   구룡사 회주


- 통도사 화엄산림법회 법문 -


하늘이 맑고 깨끗한 구름만 있으면 비도 눈도 내리지 않습니다. 거기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무게와 기압과 온도 등의 환경이 이루어져야 비도 되고 눈도 되고 우박도 되는 것입니다. 세상살이 또한 이러한 이치와 다르지 않습니다.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에 보면 끊임없이 반복되어 나오는 말씀이 『어찌 하오리까?』와 『이렇게 해라. 내가 이것은 알고 있다만, 그것을 내가 어찌 알겠느냐? 누구를 찾아 가거라.』입니다. 진리를 찾기 위한 끊임없는 물음과 솔직한 답변. 이 얼마나 겸손한 말씀입니까? 이와 같은 마음가짐과 자세로 십바라밀(十波羅蜜)을 실천하면 자연스럽게 십지(十地)가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십지보살(十地菩薩)이 대원을 발해서 얻은 마음의 자리가 십지(十地)인데, 그 십지가 바로 환희지(歡喜地), 이구지(離垢地), 발광지(發光地), 염혜지(焰慧地), 난승지(難勝地), 현전지(現前地), 원행지(遠行地), 부동지(不動地), 선혜지(善慧地), 법운지(法雲地)입니다.
그 중 환희지는 보살이 처음으로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해 환희를 느끼는 단계, 즉 기쁨이 넘치는 자리입니다. 그리고 이구지는 청정한 계율을 구족하여 번뇌망상(煩惱妄想)의 때를 여윈 자리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미산(須彌山)을 순례하려는 제자들에게 『거기에는 왜 가려고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이에 제자들이 대답하기를,
『수미산을 참배하고 안욕지에서 목욕하고 그 물을 마시면 업장(業障)이 다 녹아내린다고 하여 가고자 하나이다.』라고 했습니다.
이 말을 듣고 부처님께서
『그렇지 아니하다. 업이 녹으려면 불보살(佛菩薩)을 가까이하고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선지식(善知識)을 찾듯이 해야지 그것 가지고는 안 된다.』하셨습니다.
제가 한 말씀 더 덧붙이자면, 󰡒거기 가서 업이 녹는다면 그 호수에 사는 물고기는 무엇이며 수미산에 사는 들짐승이나 새들은 뭐가 됐을까요 그들에게는 그 곳이 삶의 터전인데 뭐가됐을까요.
이구지는 이렇게 스스로 수행정진하고 선지식을 찾음으로써 청정한 계율(戒律)을 구족(具足)하여 번뇌망상의 때를 여윈 자리입니다.

이어 세 번째 발광지는 지혜(智慧)의 광명(光明)이 나타나는 자리, 네 번째 염혜지는 지혜가 많은 자리, 다섯 번째 난승지는 진속이지(眞俗二智), 즉 진과 속이 조화를 이루어서 이(理)와 사(事)가 함께 되어있는 자리, 여섯 번째 현전지는 지혜로 진여(眞如)를 나타내는 자리, 일곱 번째 원행지는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진리(眞理)의 세계에 이르는 자리, 여덟 번째 부동지는 다시 동요하지 않는 흔들림이 없는 자리, 아홉 번째 선혜지는 바른 지혜로 설법하는 자리, 열 번째 법운지는 법의 큰 비를 내리는 자리입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반드시 유념해야 할 것이, 십신(十信)이든 십주(十住)든 십행(十行)이든 십회향(十回向)이든 십지(十地)든 체․상․용(體 : 모든 법 그 자체 ․ 相 : 그 위에 현현된 특질 ․ 用 : 그 작용) 삼대(三大)를 행동으로 옮겨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불교를 신앙(信仰)한다고 표현하면 타력종교(他力宗敎)가 됩니다. 자력종교(自力宗敎)라고 말하려면 신행(信行)이라고 해야 합니다. 즉, 지목행족(智目行足), 지혜의 눈과 보현행원(普賢行願)을 이루는 그 자리가 바로 불교라는 말씀입니다. 다시 행동으로 나타나면 그것이 바로 십바라밀(十波羅蜜)이 된다는 말씀입니다.
성인(聖人)의 길로 가는 팔정도(八正道)의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을 다 해야만 십바라밀다가 된다는 말씀입니다.

육바라밀을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서 보면, 보시(布施)는 번뇌를 버리는 것, 지계(持戒)는 나타난 경계에 별다른 생각이 없는 것, 인욕(忍辱)은 마음에 다칠게(상처받을 일) 없는 것, 정진(精進)은 마음의 경계에 집착(執着)하지 않는 것, 선정(禪定)은 집착해서 머무름이 없는 것, 지혜(智慧)는 마음이 쓸데없는 논쟁(論爭)과 논설(論說)과 시비(是非)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이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육바라밀입니다.
그 중 보시는 자신에게 있는 선근(善根)을 다른 이에게 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보리심(菩提心)은 장양선근(長養善根)이라고 했습니다. 장양선근은 선근을 길게 키우는 것입니다. 염염보리심(念念菩提心)에서 염염을 바꾸면 기억할 억(憶)자를 써서 억념(憶念)이 됩니다. 억념은 끊어지지 않는 생각입니다. 소멸될 수도 생각날 수도 있습니다. 딴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혜로운 기억으로 이어져서 상속되어지고 전승되어지고 계승되어지는 것은 늘 한결같은 것입니다. 그걸 염염이라고도 하고 억념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또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 󰡐신심(信心)은 도의 근본이기도 하지만 생명력󰡑이라는 말입니다. 살아있는자가 마음을 일으키면 움직일 수 있고,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나면 십신이든 십주든 십행이든 십회향이든 십지든 등각․묘각이든 십바라밀다를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화엄경 입법계품(華嚴經 入法界品)》에 보면, 『환희지는 보시바라밀을 근본으로 삼는다.』고 했습니다. 여기에 비추어보면, 이구지는 지계바라밀, 발광지는 인욕바라밀, 염혜지는 정진바라밀, 난승지는 선정바라밀, 현전지는 반야바라밀, 원행지는 방편바라밀, 부동지는 원(願)바라밀, 선혜지는 역(力)바라밀, 법운지는 지혜바라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환희지에서는 보시가 근본이고 으뜸이지만, 꼭 보시만 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바라밀도 때와 장소에 따라서 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지혜 있는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의 차이가 여기에서 나타납니다.
또 지계는 모든 번뇌에 뜨거움을 없애는 것, 인욕은 자비한 마음으로 다른 이를 해치지 않는 것, 정진은 항상 수양에 힘쓰고 게으르지 않는 것, 선정은 마음을 산란하게 하지 않고 고요하게 통일하는 것, 반야는 생멸이 없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있는 자가 보시하고 있는 자가 시주하고 있는 자가 공양할 때 없는 이가 함께 기뻐하면 공덕이 똑같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십바라밀 중에서 지혜바라밀다를 원만히 수행해서 무량백천삼매(無量百千三昧)를 얻고,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중생계(衆生界)·허공계(虛空界)·열반계(涅槃界) 등을 모두 알며, 불가사의해탈(不可思議解脫), 무장애해탈(無障碍解脫), 여래장해탈(如來藏解脫), 법계장해탈(法界藏解脫), 통달삼세해탈(通達三世解脫) 등의 지혜를 모두 통달한다고 했습니다.
국제적인 영성가로 알려진 미국의 호킨스라는 사람이 말하기를,  󰡒신에게 다가가고 싶은가? 그렇다면 모든 생명에게 친절을 베풀어라.󰡓고 했습니다. 그 사람들은 신본주의자이니까, 그 말을 󰡒부처님께 다가가고 싶은가? 나에게 다가가고 싶은가? 너에게 다가가고 싶은가?󰡓라고 불교식으로 재해석해서 스스로에게 물어보았습니다.
그리고 생각했습니다.
󰡒관심과 배려와 친절함속에 어울림을 가지자.󰡓
《화엄경 입법계품》에 『여러 세계에서 신통변화를 나타내되 그림자와 같이 그 앞에 나타나는 일이야 내가 어떻게 알며 그 공덕(功德)의 행을 말하겠느냐?』라는 대목이 있습니다. 선지식들도 이렇게 겸손합니다. 이 말씀을 풀어본다면, 전문가로서 한마디 거들어서 알려주기야 하겠지만, 그 다음에야 내가 뭘 알겠는가? 그러니 부지런히 선지식을 찾아서 배우고 닦으라는 말씀입니다.
그러면서 권하기를, 『선남자야, 가비라성에 가면 석씨 성을 가진 여인이 있으니, 이름이 구파니라. 그대는 그에게 가서 보살이 어떻게 태어나고 죽는 속에서도 중생을 교화하는지 물으라.』
그래서 찾아간 여인 무우덕신(無憂德神)을 찬탄하며 선재동자가 이렇게 묻습니다.
『거룩하신 이여, 지금 말씀하신 것을 제가 모두 얻으려 하나니, 거룩하신 이여, 모든 중생들이 번뇌를 쉬며 나쁜 업을 여의고 안락한 곳에 나서 깨끗한 행을 닦기로 제가 원하옵나니, 거룩하신 이여, 모든 중생이 번뇌를 일으키고 나쁜 업을 지어 나쁜 길에 떨어져서 몸과 마음으로 고통과 괴로움을 받는 것을 보살이 보면 걱정하고 괴로운 마음을 내는 것처럼 저도 그렇습니다. 그런 것들을 다독거려주고 할 수 있는 제가 될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하니,
석씨 성을 가진 여인이,
『선남자야, 나는 이미 모든 보살의 삼매(三昧)바다를 관찰하는 해탈문(解脫門)을 성취했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묻습니다.
『거룩한 이여, 이 해탈문의 경계는 무엇입니까?』
이에 다시 대답하기를,
『가지가지 세워진 것과 가지가지 형상과 가지가지 이름과 그지없는 갖가지 장엄과 많은 세계해(世界海)에 있는 말할 수 없는 세계와 그 안에 계신 부처님 법문을 말해서 교화함을 보지만, 보살의 몸과 보살의 지은 업을 알지 못하며, 그 마음도 지혜도 여러 세상 여러 세월을 행함도 모두 알지 못한다.』
선재동자는 이 말씀을 다 알아들었습니다. 우리도 선재동자처럼 이 말씀들을 알아들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관심과 배려와 친절함속에 어울림을 가지고 열심히 수행하고 정진하는 삶을 살아가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