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월호 보기

2025년

      2025년 01월호
      2025년 02월호
      2025년 03월호
      2025년 04월호

2024년

      2024년 01월호
      2024년 02월호
      2024년 03월호
      2024년 04월호
      2024년 05월호
      2024년 06월호
      2024년 07월호
      2024년 08월호
      2024년 09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2월호

2023년

      2023년 01월호
      2023년 02월호
      2023년 03월호
      2023년 04월호
      2023년 05월호
      2023년 06월호
      2023년 07월호
      2023년 08월호
      2023년 09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2월호

2022년

      2022년 01월호
      2022년 02월호
      2022년 03월호
      2022년 04월호
      2022년 05월호
      2022년 06월호
      2022년 07월호
      2022년 08월호
      2022년 09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2월호

2021년

      2021년 01월호
      2021년 02월호
      2021년 03월호
      2021년 04월호
      2021년 05월호
      2021년 06월호
      2021년 07월호
      2021년 08월호
      2021년 09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2월호

2020년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19년

      2019년 01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18년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7년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6년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5년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4년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3년

      2013년 01월호
      2013년 02월호
      2013년 03월호
      2013년 04월호
      2013년 05월호
      2013년 06월호
      2013년 07월호
      2013년 08월호
      2013년 0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2년

      2012년 01월호
      2012년 02월호
      2012년 03월호
      2012년 04월호
      2012년 05월호
      2012년 06월호
      2012년 07월호
      2012년 08월호
      2012년 0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1년

      2011년 01월호
      2011년 02월호
      2011년 03월호
      2011년 04월호
      2011년 05월호
      2011년 06월호
      2011년 07월호
      2011년 08월호
      2011년 0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0년

      2010년 01월호
      2010년 02월호
      2010년 03월호
      2010년 04월호
      2010년 05월호
      2010년 06월호
      2010년 07월호
      2010년 08월호
      2010년 09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2월호

2009년

      2009년 01월호
      2009년 02월호
      2009년 03월호
      2009년 04월호
      2009년 05월호
      2009년 06월호
      2009년 07월호
      2009년 08월호
      2009년 09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2월호

2008년

      2008년 01월호
      2008년 02월호
      2008년 03월호
      2008년 04월호
      2008년 05월호
      2008년 06월호
      2008년 07월호
      2008년 08월호

2007년

      2007년 09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2월호
패스트푸드 문화

성운星雲 스님
대만 불광산사 개산조


과학발달로 말미암아, 교통, 전기통신이 더욱 빨라져, 인간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대대적으로 단축되었으며, 광대무변한 공간에 사람들로 하여금 가까운 느낌을 갖게 하였습니다. 특히 시간을 다루는 현대인을 위하여 끝없는 시간 속에서 더욱 분초를 다툽니다. 이 때문에 많은 ‘패스트푸드’를 발명하였는데, 패스트푸드는 이미 현대인류 생활의 주류가 되었습니다.


패스트푸드 발명, 이것 때문에 현대인은 우쭐거리고 인스턴트 라면 한 봉지로 1분이면 맛있는 음식이라고 여깁니다. 사실, 인스턴트 라면을 만드는 전 단계 인연들은 몇 시간 심지어
몇 날의 수고로움을 들여야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이지만, 인스턴트를 즐기는 이들은 이 사실을 잘 모릅니다.


여러분은 맛있는 음식의 결과를 누릴 때, 다른 사람의 수고로운 인연을 생각하십니까? 햄버거 하나는 몇 푼의 돈을 쓰기만 하면 매우 쉽게 얻을 수 있지만, 햄버거 하나가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나 많은 땀과 수고가 합해져야 비로소 당신이 지불하는 ‘몇 푼의 금전적 가치’로 환산됩니다. 당신은 패스트푸드가 당신에게 가치가 있다고 여깁니까? 아니면 가치가 없다고 여깁니까?
만약 당신이 죽이나 탕을 먹고자 할 때, 알루미늄 은박지를 뜯어 끓는 물을 부으면 바로 향기로운 냄새가 나고, 김이 무럭무럭 나는 멀건 죽이 당신 앞에 등장합니다. 요즘은 패스트푸드뿐만이 아니라, 의복이나 옷들도 종이바지, 종이옷 등으로 만들어져 한 번만 사용하고 바로 버릴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패스트푸드 문화의 확대로 우리는 지금, 세계가 무척 빨라졌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세계 5대주는 배를 타고 갈 때, 일 년 육 개월을 타야 했지만, 요즘의 비행기는 아침에 출발하여 저녁에 도착합니다.
지난 날 편지 한 통은 ‘집에서 온 편지는 만금과 맞먹는다’는 말처럼 몇 개월이 지나야 겨우 받을 수 있었습니다. 요즘의 뉴스나 전화, 컴퓨터와 인터넷들은 아득히 먼 곳의 일들도 시공간을 초월하여 이웃과 같이 느껴지게 해줍니다.


유럽의 축구경기는 전파를 통하여 세계 각 구석 모퉁이에서도 보며 즐기는 것이 모두 직접
현장에 가서 보는 것과 같습니다. 대만의 중천中天 TV 방송국에서 프로그램 상영과 동시에
세계의 집집마다 전송됩니다. 근래에 느껴지는 우주세간은 시간과 공간이 완전히 없는 것과
같습니다. 이 때문에 어떤 이는 ‘3차원’, ‘5차원’이라 외칩니다.


예전부터, 모두들 ‘빠른’ 것을 원하였는데, 불교에서야말로 막 출생한 공주가 ‘당장 자라기를’ 바라는 우둔한 파사익왕의 미련한 고사가 있습니다.
사실, 세상에는 당장에 성장하는 도리는 없습니다. 설령 지금 ‘패스트푸드’의 음식생활이
있지만, 그러나 사람의 생명은 ‘패스트푸드’도 없고 빠르게 구할 수도 없습니다.


불교에서의 시간은 모두 과거, 현재, 미래, 삼세로 말하고, 공간은 모두 이쪽, 저쪽, 시방
한량없는 세계를 말하며, 인간은 모두 태로 나고, 알로 나고, 습기로 나고, 불보살의 화신으로 나며 역시 한량없고 셀 수 없다 말합니다.
그래서 ‘패스트푸드’는 어떻게 빠르든 관계없이, 불교에서는 ‘장정이 손가락 한번 튕김은
63찰나가 걸린다’고 말합니다. 지금 이후 시간이 빨라져 더 이상 계산할 수 없을 때도 불교의 ‘한 찰나’로 계산할 수밖에 없습니다.


공간 방면에 있어서는 세계에서 속도가 제일 빠른 것이 빛이요, 번개인데 사람의 염원이
더 빠르고 심력心力은 ‘한 생각이 시방十方 국토’인데 신속하게 지나갑니다.
인류는 이미 달나라에 착륙하였고, 미래의 우주시대에 있어서 아마도 ‘한 생각이 곧 삼천
겁’으로 계산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상의 모든 것은, 결국 모두 불법 안에 있습니다. ‘패스트푸드’가 어떻게 발전하든 무한한 시공時空 속에 있어서는 아무리 빨라도 ‘한 찰나’에 불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