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월호 보기

2025년

      2025년 01월호
      2025년 02월호
      2025년 03월호

2024년

      2024년 01월호
      2024년 02월호
      2024년 03월호
      2024년 04월호
      2024년 05월호
      2024년 06월호
      2024년 07월호
      2024년 08월호
      2024년 09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2월호

2023년

      2023년 01월호
      2023년 02월호
      2023년 03월호
      2023년 04월호
      2023년 05월호
      2023년 06월호
      2023년 07월호
      2023년 08월호
      2023년 09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2월호

2022년

      2022년 01월호
      2022년 02월호
      2022년 03월호
      2022년 04월호
      2022년 05월호
      2022년 06월호
      2022년 07월호
      2022년 08월호
      2022년 09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2월호

2021년

      2021년 01월호
      2021년 02월호
      2021년 03월호
      2021년 04월호
      2021년 05월호
      2021년 06월호
      2021년 07월호
      2021년 08월호
      2021년 09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2월호

2020년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19년

      2019년 01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18년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7년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6년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5년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4년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3년

      2013년 01월호
      2013년 02월호
      2013년 03월호
      2013년 04월호
      2013년 05월호
      2013년 06월호
      2013년 07월호
      2013년 08월호
      2013년 0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2년

      2012년 01월호
      2012년 02월호
      2012년 03월호
      2012년 04월호
      2012년 05월호
      2012년 06월호
      2012년 07월호
      2012년 08월호
      2012년 0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1년

      2011년 01월호
      2011년 02월호
      2011년 03월호
      2011년 04월호
      2011년 05월호
      2011년 06월호
      2011년 07월호
      2011년 08월호
      2011년 0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0년

      2010년 01월호
      2010년 02월호
      2010년 03월호
      2010년 04월호
      2010년 05월호
      2010년 06월호
      2010년 07월호
      2010년 08월호
      2010년 09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2월호

2009년

      2009년 01월호
      2009년 02월호
      2009년 03월호
      2009년 04월호
      2009년 05월호
      2009년 06월호
      2009년 07월호
      2009년 08월호
      2009년 09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2월호

2008년

      2008년 01월호
      2008년 02월호
      2008년 03월호
      2008년 04월호
      2008년 05월호
      2008년 06월호
      2008년 07월호
      2008년 08월호

2007년

      2007년 09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2월호
보살이란

선정행
여래사 불자


 


우리 가족은 사정상 명절을 당일이 아닌 명절 전후로 양가에 다녀온다. 대신 명절날은 친정아버님과 몇 친척 분들의 위폐가 모셔져 있는 여래사에서 합동차례도 지내고 공양간 봉사를 한다.
싫다고 할만도 한데 몇 년째 내 뜻을 따라준 아이들이 항상 고맙다. 봉사가 끝나고 아이들과 저녁을 먹으며 때론 찜질방에서 그날 봉사하면서 느끼고 알아차림을 이야기 하곤 한다. 아이들의 행동이 기특해 농담 겸 덕담을 해주시는 총무스님(여상스님)이 아이들은 너무나 좋았다 한다.
대보름이 다가오는 지금도 아이들이 총무스님 이야기를 한다. 봉사를 하면서 보여지는 몇 몇 보살님의 행동이 아이들 눈엔 큰 공부가 된 듯하다.
“엄마!
삼보귀의 하라고 듣고 배웠습니다.
스님이 지나가시는 데 비켜 드리기는 고사하고 먼저 지나가겠다는 보살님….
스님 말씀하시는 데 중간에 끼어드는 보살님….
이분들도 보살님입니까?”
이렇게 묻는 큰아이의 말에 얼굴이 용광로처럼 뜨거워졌다. 그러한 모습들을 보니 가슴이 답답해서 봉사활동을 끝까지 마무리 못하였다고 한다. 출가를 하면 아무리 속가의 나이가 어려도 삼보귀의 하라고 하였다. 최근 베트남을 여행 중인 지인께서 탁발을 나오신 어린 동자승을 극진히 대접하는 보살의 사진을 보내 주셨다. 느끼는 게 많은 사진이었다.
절에 오래 다녔다고 진정한 보살은 아니라고 본다.
절에서 봉사를 많이 하였다고 대보살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보살의 뜻을 새기며 행하고 마음을 내어 행하는 게 진정한 보살이라고 생각한다. 『금강경』의 보리심의 뜻을 새기고 내 자신부터 버리고 말과 행을 해야 할 듯싶다. 내 자신을 내려놓는다. 누가 짊어지라고 한 적은 없다. 내 자신부터 버리고 ‘저는 ○○보살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는 아직도 보살이 아니다. 아이들과 주변사람들을 거울로 생각하며 한발씩 보살의 길로 발을 내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