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월호 보기

2025년

      2025년 01월호
      2025년 02월호
      2025년 03월호

2024년

      2024년 01월호
      2024년 02월호
      2024년 03월호
      2024년 04월호
      2024년 05월호
      2024년 06월호
      2024년 07월호
      2024년 08월호
      2024년 09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2월호

2023년

      2023년 01월호
      2023년 02월호
      2023년 03월호
      2023년 04월호
      2023년 05월호
      2023년 06월호
      2023년 07월호
      2023년 08월호
      2023년 09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2월호

2022년

      2022년 01월호
      2022년 02월호
      2022년 03월호
      2022년 04월호
      2022년 05월호
      2022년 06월호
      2022년 07월호
      2022년 08월호
      2022년 09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2월호

2021년

      2021년 01월호
      2021년 02월호
      2021년 03월호
      2021년 04월호
      2021년 05월호
      2021년 06월호
      2021년 07월호
      2021년 08월호
      2021년 09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2월호

2020년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19년

      2019년 01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18년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7년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6년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5년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4년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3년

      2013년 01월호
      2013년 02월호
      2013년 03월호
      2013년 04월호
      2013년 05월호
      2013년 06월호
      2013년 07월호
      2013년 08월호
      2013년 0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2년

      2012년 01월호
      2012년 02월호
      2012년 03월호
      2012년 04월호
      2012년 05월호
      2012년 06월호
      2012년 07월호
      2012년 08월호
      2012년 0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1년

      2011년 01월호
      2011년 02월호
      2011년 03월호
      2011년 04월호
      2011년 05월호
      2011년 06월호
      2011년 07월호
      2011년 08월호
      2011년 0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0년

      2010년 01월호
      2010년 02월호
      2010년 03월호
      2010년 04월호
      2010년 05월호
      2010년 06월호
      2010년 07월호
      2010년 08월호
      2010년 09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2월호

2009년

      2009년 01월호
      2009년 02월호
      2009년 03월호
      2009년 04월호
      2009년 05월호
      2009년 06월호
      2009년 07월호
      2009년 08월호
      2009년 09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2월호

2008년

      2008년 01월호
      2008년 02월호
      2008년 03월호
      2008년 04월호
      2008년 05월호
      2008년 06월호
      2008년 07월호
      2008년 08월호

2007년

      2007년 09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2월호
낙안

현담 스님


낙안 -순천 낙안하면 왠지 좀 서럽고 안타까운 느낌이다 기러기도 쉬어가는 살고 싶은 동네라는데 왜 그런 느낌이 드는지 모르겠다 예전의 읍성마을은 지금보다 훨씬 조촐하고 고즈넉한 시골동네였었다 저녁노을 다 지워지는 시간에 우리는 도착하였고 배가 고팠다 무언가 생의 허기가 여기까지 내몰았는데 식당의 가지 많은 반찬들이 어쩔것이여 먹던지 말던지 우리의 몹시도 많이 허한 위장을 타령인지 타박인지 하고 있었다 우리는 어떤 허기 같은 것 어떤 오기 같은 것들로 포만 포식했었다 그중에서도 빨간 갓김치동치미와 백도라지 무침이 일품이었다 처음 먹어보는 갓동치미의 그 알싸한 시원함은 여기까지 오면서 묻어둔 이야기들 꺼내지도 못하게 하였다 저물어 노을 사라지자 곱던 성벽은 그야말로 왜놈들 막아서는 성벽 그 자체였다
성안으로 들어가는 길은 아주 없을 것만 같았다 그랬다 우리는 멀리서 온 생의 아주 멀리서 온 성 밖의 사람들이었다 어둠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도 절벽처럼 가까이 있었다 돌아보면 우리야말로 갈데없는 어둠 그 자체였었다 어라 이럴바엔 아까 밥상에서 타령하던 그 좋은 남도 반찬들 막걸리들 아리한 백도라지들과 동무하면서 아예 빌어먹을 한 개비 성냥불 같은 생인지 세상인지 나발인지 동헌마루의 나팔이나 한 번 제대로 불어 볼 노릇이었다 들판에는 바람이 조금 불고 있었고 그 흔한 꼬막만한 별 하나 없는 밤이었다- 왠지 지금도 낙안은 멀고도 조금 슬픈 동네다